본문 바로가기

그밖에

율곡은 비이원론적 신유교로 변화시켰던 것이다

중국 불교가 한국에 들어와서야 비로소 비실처적 불교

즉 무의 완전한 실현에 의한 불교 자체희 모습을 찾게 된 것이다

이는 승랑, 원측, 의상, 원효의 불교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유교도 마찬가지이다

아직 주자의 이원론에서 머뭇거리던 신유교를 율곡은 비이원론적 신유교로 변화시켰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