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희는 정이천의 말을 인용하여
중의 의미에 대해 중용에서 중은 치우치지 않고 의지하지 않으며,
지나침과 미치지 못함이 없는 것을 이름 함이라고 하였다.
이는 중의 의미를 불편불의한 공간론적인 상황과
고불급이 없는 균형 상태로서의 도덕적 행위 기준으로 해석했다.
'그밖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즉지리의 명제 속에 성의 발현이 곧 본심이요 (0) | 2014.05.12 |
---|---|
희로애락이 미발한 상태를 마음으로서 체득하면 (0) | 2014.05.10 |
해석상의 현상론적 한계를 극복하고 (0) | 2014.05.09 |